정보 71

구글, GDC2014에서 구글 게임서비스의 새로운 기능 소개

올해 GDC2014에서, 구글은 구글 플레이 게임 서비스(Google Play Game Services)에 새로운 기능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기능 추가의 핵심적인 점은 조금더 크로스 플랫폼 지원에 가까워진것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면 New로 표시된 부분을 볼 수 있는데, 먼저 iOS 지원에 있어서, 리얼타임 멀티플레이어와 턴베이스 멀티플레이어를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능들은 그동안 안드로이드에서만 지원되었었죠. 그래서 특별히 게임서버를 자체 운용하지 않는 이상, iOS는 iOS대로(애플의 게임센터 프레임웍 사용), 안드로이드는 안드로이드대로(구글 플레이 게임서비스) 따로 따로 사용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iOS도 구글 플레이 서비스의 멀티 플레이어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GDC2014에서 Unity 5 소개

이번 GDC 2014에서 현지시간 4월18일 유니티5가 소개되었습니다. 유니티는 멀티플랫폼 게임엔진으로 이번 신규 버전의 주요 특징은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라이트닝 : 크로스 플랫폼 실시간 글로벌 일루미네이션, 모바일과 데스크탑, 콘솔을 모두 지원.쉐이딩 : 물리엔진에 기반한 하이엔드 쉐이딩UI 툴 : 2D와 3D를 위한 직관적인 디자인 시스템오디오 : 실시간 믹싱 및 마스터링, 이펙트 - 해당 툴 지원되며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음.2D : 다양한 물리 이펙터 지원.Web GL : Web GL로 브라우저 플러그인 없이 웹 배포가 가능에디터 : 멀티 쓰레드 작업 시스템, 타임라인 프로파일링, 64비트 에디터, 프레임 드로우 콜 디버거, 지형 스피드 트리 통합, 새로운 애셋 번들 시스템, 추가된 2..

Unite Korea 2014 얼리버드 티켓 발행

유니티 코리아에서 2014년 4월에 개최되는 '유나이트 코리아 2014' 행사의 얼리버드 티켓을 오픈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유나이트는 유니티에서 주최하는 유니티와 관련된 여러가지 주제의 세션이 진행되는 행사입니다. 얼리버드 티켓은 할인 판매하는 것이며 기간은 3월 7일부터 3월 15일까지라고 합니다. 행사기간은 2014년 4월 9일~4월 10일 입니다. (출처 : http://korea.unity3d.com/shop/detail.php?pno=37693CFC748049E45D87B8C7D8B9AACD) 자세한 사항은,http://korea.unity3d.com/shop/detail.php?pno=37693CFC748049E45D87B8C7D8B9AACD 에서 볼 수 있습니다. (또는 http://korea..

Unite Korea 2014 개최 예정

올해에도 작년에 이어 유니티에서 진행하는 유나이트가 한국에서도 개최될 예정입니다. 유나이티는 유니티에서 매년 진행하는 Unity3D 관련 컨퍼런스로 여러 나라에서 진행됩니다. 이번에 진행될 유나이트 코리아 2014 행사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 인터콘티넨탈에서 2014년 4월 9일~2014년 4월 10일 양일간 열릴 예정입니다. 기획, 아트, 개발의 세가지 주제를 기반으로 세션들이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접수중으로 알려 졌습니다. 해당 행사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유니티 코리아 공식 페이지의 UNITE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행사 링크 : http://korea.unity3d.com/content/content.php?cont=unity2014

2014 CES에서 발표한 인텔(Intel)의 에디슨(Edison)

임베디드 디바이스라고 들어봤나요? 요즘은 잘 안쓰는 말이지만 2000년대 초반~중반까지만 해도 전자업계쪽에서는 많이 사용하던 용어입니다. 한국어로는 내장컴퓨터라고도 했는데, 좀 억지 해석인 면이 있어서인지 잘 사용하지는 않았던 용어이고, 보통 임베디드 시스템 또는 임베디드 기기라고 많이 불렀었습니다. 쉽게 말하자면, 어떤 장치속의 컴퓨터라고 할까요? 예를 들어 보는게 쉽겠네요. 은행로비에 가면 만나는 ATM기, 자동차에 들어가는 컴퓨터, 자동차 내비게이션, 매장에 있는 POS기기(결제기기), 음식 배달하면 들고 오는 카드결제기(모바일POS)등등이 모두 포함됩니다. (뭐, 학교에서 배운 분들은 인공지능 밥통(?)같은걸로 개념 배웠다는 분들도 있더군요). 예전에는 임베디드 개발은 회사에서나 해보지 개인들이 ..

모바일 앱 백엔드를 도와줄 BaaS 몇 가지 소개

BaaS라고 들어봤나요? BaaS는 'Backend as a Service'를 줄여 놓은 말인데, 백엔드 플랫폼을 서비스 형태로 지원해 주는것을 말합니다. 쉽게 이해하자면, 어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하다 보면, 유저가 직접 접하게 되는 앱자체만 가지고 동작하는 것 보다(프론트엔드라고 함),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쪽과 연동되어 동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서비스의 경우에 앱만 개발해서는 안되고, 서버개발까지 해야 하는 부담이 생기게 되지요. 그러나 서버측에서 하는 일이 특정 서비스를 위해 따로 개발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푸쉬 알림을 보낸다든지, 유저의 정보를 저장한다든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한 인증(로그인)을 받는다든지 하는 것들 말이죠. 이런 공..

맥용 MySQL(MariaDB) GUI툴 SequelPro 로 DB관리를 편하게!

소프트웨어 이름 : Sequel Pro제 작 : Sequel Pro & CocoaMySQL Teams 홈페이지 : http://www.sequelpro.com운영체제 : MacOS X분 류 : DB GUI 툴가격 / 라이선스 : 프리웨어 (기부) / MIT License MS SQL Server를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쿼리 분석기(Query Analyzer)를 많이 사용했을 것입니다. (사실 MS 툴들이 일단 한번 설치하면 토탈 솔루션으로 제공이 되니 이것저것 다른 생각 할 것 없이 쉽게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MySQL이든, MariaDB든 아쉽게도 MS의 쿼리 분석기와 같은 GUI 툴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 Oracle도 마찬가지고..

안드로이드 버전별 점유율 확인 방법

바로 전에는 iOS의 버전별 점유율을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 봤습니다. 이번에는 안드로이드의 버전별 점유율을 확인해 보도록 하죠. 사실 iOS의 경우는 애플에서 직접 OS의 업데이트를 배포해서 사용자들이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신규 OS의 업데이트 속도와 비율이 상당이 높은 편입니다. 그렇지만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넥서스 시리즈등 구글 자체 레퍼런스 장치를 제외하고는 각 제조사에서 업데이트 OS 이미지를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각 제조사의 정책이나 사정에 따라 업데이트 시기가 각각 다르고,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어느 정도까지 오래된 OS를 지원해야 할지 고민이 깊을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어쨌든,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iOS보다 버전별 점유율을 확인하기가 쉬운데요, 구..

iOS 버전별 점유을 확인 방법

아마 iOS 개발 하는 분들이나 업체는 iOS 각 버전별 점유율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예전에는 애플에서 직접 매달 점유율이 어느정도 알려 주지 않아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유추할 수 있었을 뿐이었습니다. (물론 애플에서도 발표를 합니다만, 애플 행사와 같은 간헐적인 발표라서 답답한 면이 있었죠.) 그러나 최근에는(현재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 애플 개발자 지원 페이지에서 직접 점유율 확인을 할 수 있더군요. 다만 너무 단순하게만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쉽기는 하네요. 점유율을 볼 수 있는 주소는 https://developer.apple.com/support/appstore/ 입니다. 위 주소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조금 스크롤해 내려가면 좌측에 앱스토어에 특정시기 기준의 점..

모바일 플랫폼 별 트위터 사용 지도

이번에는 모바일 플랫폼의 트위터 사용과 관련된 재밌는 링크 하나 올려 봅니다. 우선 링크부터, https://www.mapbox.com/labs/twitter-gnip/brands/ 위 사이트로 들어 보면, 모바일 폰에서 포스트된 트윗으로 어느지역에 어떤 플랫폼의 사용자가 트위터를 사용하는지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세계지도상에서 (지도가 검은색이라서 잘~봐야 보입니다.) 각 플랫폼(안드로이드, 아이폰, 블랙베리등)을 다른 색으로 보여주네요. 지도의 확대 축소도 되고 드래그해서 다른 지역도 볼 수 있습니다. (출처: https://www.mapbox.com/labs/twitter-gnip/brands/ 캡쳐) 이런 자료 볼 때 신뢰도는 알아서 판단해야 하는것 아시죠?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