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7

맥용 MySQL(MariaDB) GUI툴 SequelPro 로 DB관리를 편하게!

소프트웨어 이름 : Sequel Pro제 작 : Sequel Pro & CocoaMySQL Teams 홈페이지 : http://www.sequelpro.com운영체제 : MacOS X분 류 : DB GUI 툴가격 / 라이선스 : 프리웨어 (기부) / MIT License MS SQL Server를 사용해 본 사람이라면,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쿼리 분석기(Query Analyzer)를 많이 사용했을 것입니다. (사실 MS 툴들이 일단 한번 설치하면 토탈 솔루션으로 제공이 되니 이것저것 다른 생각 할 것 없이 쉽게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것 같습니다.) 그러나 MySQL이든, MariaDB든 아쉽게도 MS의 쿼리 분석기와 같은 GUI 툴을 기본적으로 제공하지 않고 있습니다. (사실 Oracle도 마찬가지고..

우분투에서 MariaDB 캐릭터셋을 UTF8 로 설정하기

우분투에 MariaDB를 처음 설치하면 캐릭터셋이 기본적으로 Latin-1 으로 되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요즘 시대가 어떤 시대인데 Latin-1을 디폴트로...)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코딩을 euc-kr이나 UTF8로 바꾸는 것이 필요한데, 요즘은 대부분 UTF8을 사용하므로 UTF8로 설정해 봅니다. MariaDB의 캐릭터셋을 UTF8로 설정하는 것은 MySQL과 유사합니다. 먼저, 현재 MariaDB의 캐릭터셋이 무엇으로 되어 있는지 확인부터 해보죠. (이미 UTF8로 되어 있다면 바꿀 이유가 없으니까요.) 먼저 터미널로 접속합니다. 그리고 MariaDB에 연결합니다. $ sudo mysql -uroot -p show variables like 'c%'; 제 경우 아래와 같이 나오네요..

서버/Linux 2013.12.24

우분투에서 아파치 가상호스트 (Virtual Host) 로, 한대의 서버에서 여러 웹서비스를...

이번 포스트에서는 가상호스트(버추얼 호스트, Virtual Host)로 한대의 아파치 서버에서 여러 도메인으로 각각의 웹서비스를 하는 방법을 살펴 봅니다. 웹호스팅 서비스를 받으면서, 어떻게 하나의 서버에 수많은 사람들이 입주해서 각자의 도메인을 가지고 웹서비스를 할까 궁금한적이 없는지요? 아파치 웹서버에 기능 중 하나인 가상 호스트를 사용하면,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상 호스트의 기능을 이용하면, 하나의 IP에 물려 있는 도메인들을 서버의 특정한 디렉터리에 매칭 시킬 수 있는데요, 필요에 따라 분리된 디렉터리를 유저들 각각에게 해당 디렉터리에만 접근 가능하도록 권한을 주고, MySQL과 같은 DBMS에도 특정 유저용 DB와 아이디 패스워드를 생성하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웹호스팅 서비스의 구현..

서버/Linux 2013.12.22

우분투에 APM (Apache+PHP+MariaDB) 설치하기

이번 포스팅은 우분투에 APM을 설치하는 방법을 기록해 둡니다. 단, Apache + PHP + MySQL에서 MySQL 대신 MariaDB를 설치합니다. 만약 가상서버 호스팅과 같은 서비스를 받고 있다면, 작업전에 실패로 인한 복원이 쉽도록 스냅샷과 같은 백업을 해 두는 것이 안전하겠습니다. 0. 루트 권한 획득 APM을 설치하려면 루트 권한이 필요 합니다. 각 명령 앞에 sudo 명령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여러 작업을 해야 하니 우선,$ sudo su 으로 루트 권한으로 바꿔 놓습니다. (불안하면 sudo 명령과 함께 작업해도 되겠죠.) 만약 root로 로그인 한 상태라면 필요 없습니다. (작업이 모두 끝나면 logout 해서 root 상태를 반드시 벗어나는것이 좋겠습니다.) 1. 우분투 ap..

서버/Linux 2013.12.21

해외 가상 서버 호스팅 - DigitalOcean (4) - 도메인 연결

이 포스트에서는 DigitalOcean 가상 서버에 도메인을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 봅니다. 도메인을 연결하면 이제 IP 주소가 아닌 도메인으로 연결 할 수 있겠죠. 먼저 도메인을 관리하고 있는 도메인 관리 회사에 접속해서 네임서버를 바꾸어 줘야 합니다. 네임서버를 바꾸는 방법은 도메인 관리 회사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설명드리기 어렵습니다. 도메인 관리 회사에 접속해 보면 보통 도메인 관리라는 메뉴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도메인 관리 메뉴에서 바꿀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포스팅에서 연결해볼 도메인을 관리하고 있는 호스팅케이알의 경우는 아래와 같습니다.호스팅케이알에 접속해서 도메인 관리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도메인 관리 업체마다 다릅니다. 본인의 도메인 관리 업체의 사..

서버/Web & Blog 2013.12.20

해외 가상 서버 호스팅 - DigitalOcean (3) - 터미널 접속 및 비밀번호 변경

지난 포스팅에서 가상 서버까지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제 접속을 해 보아야죠. 먼저 가상서버(Droplet)을 만들고 받은 이메일을 열어 봅니다. (DigitalOcean에서 가상 서버 생성시 받게 되는 이메일) 대략 위와 같은 내용의 이메일이 도착 했을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빨간 네모의 IP Address, root, Password 입니다. 터미널을 통해 SSH 로 접속해 봅시다. 맥을 사용하시는 분은 그냥 '응용프로그램->유틸리티->터미널'을 사용해도 되고, iTerm같은 터미널 프로그램을 사용해도 됩니다. 윈도우를 사용하시는 분은 Putty와 같이 SSH를 지원하는 터미널 프로그램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터미널 프로그램에 위 메일의 빨간색 네모 안의 내용으로 접속을 시도 합니다. 저는 그냥 ..

서버/Web & Blog 2013.12.20

해외 가상 서버 호스팅 - DigitalOcean (2) - 계정 생성 및 가상 서버 설치

지난번에는 DigitalOcean이라는 호스팅 서비스에 대해 알아 봤고요,오늘은 간단하게 가입하는 방법과 가상서버를 설치 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먼저, DigitalOcean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http://www.digitalocean.com 지난번에 살펴 봤는 화면이 나오면, 계정을 만들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여기서 좀 당황 했는데, 그냥 아래 화면에서 앞으로 사용할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니 바로 계정 생성이 되더라고요. 구글 계정 만드는것보다 더 쉽더군요.) 위 화면에서 '1' 부분에 앞으로 사용하기를 원하는 이메일주소와(아이디로 사용됩니다.) 사용하기를 원하는 비밀번호를 입력 한 후에 [Get Stared!]를 누르면 계정이 생성됩니다. (추후에 바꿀 수 있습니다.) 또는 상단 ..

서버/Web & Blog 2013.12.20

해외 가상 서버 호스팅 - DigitalOcean (1) - 소개

모바일쪽 개발 하는 분들 중에는 해외쪽을 바라 보는 분들도 많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굳이 모바일쪽 아니라 하더라도 본인이 하는 일의 성격상 해외에서 본인의 서비스에 접속할 고객이 많은 경우도 있지요. 어쨌든 접속해 오는 사람들이 국내보다는 해외에 많다면, 가능하다면 해외에 서버를 두는 것이 맞을겁니다.그나마 가까운 나라라면 괜찮을 수 있지만, 북미나 유럽같은 먼곳이라면, 그 머나먼 거리를 돌아돌아서(그나마 미국서부쪽 해저 케이블이라면 나은 편이겠지만) 접속해 온다면 제대로 서비스가 될지 장담 할 수 없겠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북미쪽 서비스를 생각하시는 분들이 해당이 되겠습니다. (유럽쪽도 어느정도 커버가 될 지는 모르겠네요.) 처음에는 북미쪽 웹호스팅 업체를 많이 찾아봤는데요... 유명한 곳이 여럿 있더군..

서버/Web & Blog 2013.12.20

안드로이드 버전별 점유율 확인 방법

바로 전에는 iOS의 버전별 점유율을 알아보는 방법을 살펴 봤습니다. 이번에는 안드로이드의 버전별 점유율을 확인해 보도록 하죠. 사실 iOS의 경우는 애플에서 직접 OS의 업데이트를 배포해서 사용자들이 업데이트를 하기 때문에, 신규 OS의 업데이트 속도와 비율이 상당이 높은 편입니다. 그렇지만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넥서스 시리즈등 구글 자체 레퍼런스 장치를 제외하고는 각 제조사에서 업데이트 OS 이미지를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각 제조사의 정책이나 사정에 따라 업데이트 시기가 각각 다르고,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개발자들이 어느 정도까지 오래된 OS를 지원해야 할지 고민이 깊을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어쨌든, 안드로이드의 경우는 iOS보다 버전별 점유율을 확인하기가 쉬운데요, 구..

iOS 버전별 점유을 확인 방법

아마 iOS 개발 하는 분들이나 업체는 iOS 각 버전별 점유율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예전에는 애플에서 직접 매달 점유율이 어느정도 알려 주지 않아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유추할 수 있었을 뿐이었습니다. (물론 애플에서도 발표를 합니다만, 애플 행사와 같은 간헐적인 발표라서 답답한 면이 있었죠.) 그러나 최근에는(현재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서) 애플 개발자 지원 페이지에서 직접 점유율 확인을 할 수 있더군요. 다만 너무 단순하게만 보여주고 있는 것이 아쉽기는 하네요. 점유율을 볼 수 있는 주소는 https://developer.apple.com/support/appstore/ 입니다. 위 주소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조금 스크롤해 내려가면 좌측에 앱스토어에 특정시기 기준의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