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7

Amazon Lightsail 여러개의 워드프레스 사이트 설치 (3) - Amazon Linux에 APM 설치

이제 지난 시간에 생성했던 Amazon Linux 인스턴스에 APM(Apache + PHP + MySQL)을 설치합니다. 아마존 리눅스에 APM을 설치하는 방법은 아마존 문서에 잘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대로 따라하면 됩니다. 해당 내용은 LAMP 웹서버 설치에 잘 설명되어 있습니다. 그럼 그 내용에 따라 APM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 글 시리즈에 필요한 부분만 적용하도록 하겠습니다. 1. 설치된 소프트웨어 패키지 전체 업데이트 아마존 리눅스 (Amazon Linux)는 CentOS에 기반한 것으로 알려 졌습니다. CentOS는 RedHat의 유사 배포본이기 때문에 yum 업데이트를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아마존 리눅스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배포본들을 최신 업데이트로 유지하기 위해 터미널에서 아..

Amazon Lightsail 여러개의 워드프레스 사이트 설치 (2) - SSH SFTP 접속

이제 지난 글에서 아마존 라이트세일(Amazon Lightsail)에 생성한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해 봅니다. 이 글에서는 iTerm을 이용해서 SSH로 터미널 접속하는 것과, Transmit을 이용해서 SFTP로 접속하는 것을 보게될 것입니다.(두 프로그램은 MacOS용 소프트웨어 입니다. 여기서는 맥을 이용할 것이지만, 윈도우 사용자라면, iTerm 대신 Putty를, Transmit 대신 WinSCP나 FileZillar등을 이용하면 됩니다.) 1. 접속 정보 확인, 키 파일 다운로드 (1) 접속 정보 확인 아마존 라이트세일에 로그인하면, 지난 글에서와 같이 생성된 인스턴스가 나옵니다. (!) 주의 인스턴스가 생성되면 요금이 부과되기 시작합니다. (단, 무료 기간 제외) 이 글을 쓰는 시점 기준,..

Amazon Lightsail 여러개의 워드프레스 사이트 설치 (1) - 인스턴스 생성

아마존 라이트세일 (Amazon Lightsail)은 아마존이 내놓은 일종의 가상서버 서비스입니다. 기존의 디지털오션의 VPC 서비스나, 호스팅 업체들의 가상 서버 서비스와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네요. AWS 사용자들은 EC2 쓰면 되지 않겠냐고 생각 하겠지만... 어떤 서비스를 할 것인가에 따라 생각을 달리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일단 일반적으로 크지 않은 웹 서버를 생각한다면, AWS의 EC2를 사용하는 것보다 비용이 훨씬 저렴합니다. 세팅하는 것도 훨씬 쉬운 편이고요. (내부적으로는 EC2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만...) 예를 들어, EC2의 t2.micro 인스턴스의 경우 무료 트래픽 기준이 데이터 전송 기준 월 1GB 이지만 (아마존은 수신은 무료입니다.) 라이트세일은 같은 t2.micro 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0 정식 출시

현지시간 2017년 10월 25일 구글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0 정식 버전을 출시하였습니다. 2.x 대에서 3.x 대로 업데이트 된 만큼, 큰 변화가 있다고 합니다. 가장 큰 변화는 이미 베타 버전에도 포함이 되어 있었지만, 코틀린 (Kotlin) 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정식으로 지원한다는 것이죠. 코틀린은 젯브레인에서 만든 언어이며 오픈소스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최신 언어 답게 최신 언어 트렌드에서 추구하는 기능들이 수용되어 있고, 자바에 비해서 매우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iOS와 맥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스위프트 (Swift)와도 비슷한 면이 많다고 하네요. 둘 다 최신 언어이다 보니...) 해당 언어에 관한 내용은 https://developers-kr.googlebl..

아마존 Gaming on AWS 행사

아마존은 지난 2017년 10월 24일 양재동 엘타워에서 Gaming on AWS 행사를 열었습니다. 이번 행사 역시 서버리스를 강조 하였는데요. 오전 세션에서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쳐라는 주제로 케이스 스터디가 있었고, 일본 게임시장과 중국 게임시장 상황과 각각 AWS를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오후 세션은 Hands-on Labs (실습)로 이루어 졌죠. 4개의 트랙으로 나누어 DevOps, GameLift, Data Analytics, Serverless 에 대한 실습이 이루어졌습니다. 저는 평소 람다와 API게이트웨이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서버리스 실습에 참여 하였는데요, 가상의 시나리오를 통해 람다와 API게이트웨이, 코그니토, 클라우드 프론트, S3, DynamoD..

Google Play Indie Games Festival 2018 - Kick off Event

어제 (2017/10/21) COEX 3층에서 구글 플레이 인디 게임 페스티벌 2018 킥오프 행사가 열렸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는 내년 초에 있을 인디 게임 페스티벌에 대한 소개 및 안내와 올해 있었던 행사에 대한 회고, 안드로이드 앱 및 게임 개발에 도움이 될만한 구글 서비스 안내, 개발 하면서 조심 해야 할 구글 정책등에 대해서도 설명하였습니다. 첫번째 세션에서는 구글이 개발사들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구글플레이의 유료 사용자가 계속 성장하고 있음을 강조 하였습니다. 또한 인디 게임 페스티벌의 참가 자격과 심사 포인트에 대해서도 설명하였죠. 두번째 세번째 세션에서는 인터뷰 형식으로 지난 행사에 대한 경험담과 현재와 미래의 트랜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네번째 세션에서..

맥 파인더에서 숨김 파일 보기

맥 파인더에서 종종 히든 파일을 봤으면 할때가 있습니다. 특히 개발자라면 더더욱 그렇죠. 참고로, 맥에서는 숨김 파일은 '.' 으로 시작하죠. (다시 말해 숨김 파일을 만드려면, 그냥 파일 이름을 '.' (dot) 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파인더에서 숨김 파일 (히든 파일)을 보거나 감추는 것은 간단합니다. 단축키를 이용하면 됩니다. [Shift] + [Command] + [.] 이렇게 한번 누르면 숨김 파일이 나타나고, 또다시 누르면 숨김 파일이 파인더에서 안보이게 됩니다. 쉽죠? (숨김 파일이 안보입니다. 여기서 [Command] + [Shift] + [.] 을 누르면?) (숨김 파일들이 나타납니다. 또 다시 [Command] + [Shift] + [.]을 누르면?) (다시 숨김 파일이 안보입니다.) ..

티스토리 카테고리 펼쳐 놓기

티스토리가 개편되면서, 카테고리의 스타일을 편집하는 기능이 없어졌습니다. 2017.8.31 티스토리 공지, '[업데이트] 새로워진 티스토리 주요 기능 소개'(http://notice.tistory.com/2399) 중간을 보면... 랍니다... 자주 쓰지는 않아도 꼭 필요한 기능인데....ㅜㅜ 갑자기 제 블로그의 왼쪽 카테고리가, 서브 카테고리들이 닫힘 상태가 되어 버렸습니다. 그래서, 방법이 없는지 구글을 검색해 보니, 카테고리를 펼치는 스크립트가 있더군요. 카테고리를 항상 펼쳐 놓는 방법을 알려 드립니다. (단, 현재에는 적용이 가능 하지만 언제든지 적용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습니다.) 1. 티스토리의 해당 '블로그 관리'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2. '카테고리 관리' 들어가 봤자 할 수 있는게 없으니..

정보/IT 활용 2017.10.11

구글 크롬 웹브라우저에서 구글 서비스가 느릴 때 (맥)

최근 들어 맥의 구글 크롬으로 구글 관련 서비스에 접속해 보면 (구글 드라이브, 구글 스프레드시트, 구글 플레이 콘솔 (개발자용) 등등) 엄청나게 느려질 때가 있습니다. 일부 페이지만 나오고 무한 뺑뺑이에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아무것도 안나오다가 접속 실패가 뜰때도 있죠. 그런데, 모든 페이지가 그런게 아니라 구글 관련 서비스나 일부 페이지에서만 그러더군요. 구글에 검색해 보니 몇년 전부터 그런 현상을 겪은 사람들이 있는것 같지만 해결 방법은 가지 각색이라 여러가지를 시도해 보았습니다. 제 경우는 크롬의 플래그 설정을 변경하여 해결이 되었습니다. (이 방법이 모두 통한다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여러 해결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1. 구글 크롬 실행 2. 주소 창에 'chrome:..

정보/IT 활용 2017.10.10

Xcode 9 에서 아이폰 무선 디버깅

여러 기기들로 갈수록 책상이 선으로 복잡해 집니다. 요즘은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 무선 헤드셋, 심지어 무선 충전까지... 무선이 대세인데도 단말기를 USB로 연결해서 개발하는 것은 번거롭기도 하고 걸리적 거리기도 하죠. 수년전에 Xcode에서 무선 디버깅을 지원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무슨 이유에서인지 소리소문 없이 그 기능이 없어졌죠. 그런데, 이번에 Xcode 9이 발표되면서, 다시 무선 디버깅이 지원되었습니다. 그것도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하도록 말이죠. 다만, 제한 사항이 있는데, 당연히 Xcode 9 이상의 버전이 필요하고, 단말기는 iOS 11 이상에서만 지원이 됩니다. 이건 아쉬운 부분인데요, iOS 11 미만의 OS가 설치된 단말기를 연결하면, 무선 연결 항목 자체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