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87

인디게임 오픈 플레이 데이 개최 (Open Play Day)

인디 게임이라고 들어 보셨나요? 음악에 인디 음악이 있고, 영화도 독립 영화가 있듯이 게임에도 인디 게임이 있습니다. 인디 게임은 대체로 소규모(1인 개발자도 많죠)의 개발팀에서 독특하고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2014년 12월 5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는 오픈 플레이 데이가 열렸습니다. 오픈 플레이 데이에 대해서 소개 팜플릿에서는 "행사에 참가한 게임들을 자유롭게 즐기고 게임을 개발한 개발자와 게임에 대해서 이야기 나눌 수 있는 개발자와 유저 간의 커뮤니케이션 파티"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도 1인 게임개발을 하고 있는 사람중 하나이지만, 플레이어로서 참관하게 되었습니다. 이 행사는 각각 약 1시간 20분씩 세개의 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각 라운드에는 약 15개 가량의 팀..

아이패드 에어2, 아이패드 미니3 한국 예약판매 시작 (비교)

2014년 11월 28일 오늘부터 지난주에 전파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알려진, 아이패드 에어2와 아이패드 미니3의 한국내 정식 판매 예약이 시작되었습니다. 현재 예약은 KT와 SK텔레콤을 통해서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아직 공식 애플 온라인 스토어에는 올라와 있지 않네요.) 또, 애플 리셀러중 한곳인 프리스비에서도 예약판매를 시작했네요. 그렇지만, 판매처에 따라 조건들이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우선 KT의 경우 (http://shop.olleh.com)는, 기본할인에 KT 사용자라면 별포인트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데, 둘을 합치면 할인폭이 상당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와이파이 iPad Air 2 16GB 모델의 경우, 소비자가가 60만원인데, 기본할인에 별포인트를 최대한 사용하면, 52만9천원까..

ADV 커널 컨피그레이션 에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사용해 보기 위해, 설치하고 (0.8.9 베타) 가상 안드로이드 장치를 만들어 실행해 보았으나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타났습니다. 내용은 아래와 같은데요... Starting emulator for AVD 'Nexus_4_768x1280_5_4.4.2_ARM' emulator: ERROR: This AVD's configuration is missing a kernel file!! 해결해 보려고 여러 방법을 시도해 보고, 구글도 한참 찾아 헤매다 성공한 방법이 있어서 포스팅합니다. 증상은 같지만, 상황이 다른지 다양한 해결책들이 검색되었지만, 제 경우는 이 방법만 성공하더군요. 제가 사용한 해결 방법에 대해서는,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8..

[node.js] 나의 node.js 코드 pm2로 실행 및 부팅시 자동실행 (우분투)

node.js로 프로그램을 만들면, 한가지 단점이 코드에 문제가 있거나 예외가 발생할 경우, 예외를 잡아 주지 않으면 프로그램이 죽어버린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forever를 사용하여 node.js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을 것입니다. (forever는 Keep Alive라는 특성을 지원해서 node.js 프로그램이 죽으면 다시 재실행시켜 주는 기능이 있습니다.) 그러나, 웹 검색을 해보니 forever를 대체할 수 있을 만한 프로그램으로 pm2라는 것이 있더군요. forever와 비교해서 지원하는 기능도 많고 텍스트 UI도 깔끔하여(비교 포스팅으로 http://devo.ps/blog/goodbye-node-forever-hello-pm2/ 참조), 이 포스팅에서는 pm2를 사용해 보도록 하..

[AWS의 기본 09] NGINX를 node.js의 프록시로 설정하기

이번에는 NGINX를 node.js의 프록시로 사용하는 방법을 살펴 봅니다. node.js의 알려지지 않은 보안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NGINX와 같은 웹서버를 앞단에 프록시 서버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알려져 있지요. 그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9] NGINX를 node.js의 프록시로 설정하기 지난 포스팅들에서 이미 EC2 인스턴스에 node.js와 NGINX를 설치는 했습니다만, 함께 사용해 보는 것은 처음인것 같습니다. 먼저 테스트를 위해 예제로 간단한 node.js 소스코드를 만들어 봅니다. (샘플일 뿐이므로 각자 원하는 대로 만들면 되겠네요.) 아래 내용을 홈디렉터리에 'test.js' 라는 이름으로 저장합니다. (샘플일 뿐이므로 원하는 디렉터리에 원하는 이름으로 저장해도 됩니다...

[AWS의 기본 08] EC2 인스턴스에 도메인 연결 (Route53)

지난 회에서는 AWS의 Elastic IP(이하 EIP)를 통해 고정 IP 주소를 획득하는 방법을 알아 보았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숫자로 이루어진 IP 주소로 접속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입니다. 대부분은 사람이 기억하기 쉽고, 또한 IP 주소가 바뀌더라도 매핑만 바꾸어 주어 접속할 수 있도록 도메인 이름을 사용할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C2 인스턴스에 본인 소유의 도메인을 연결해 봅니다. 미리 여기에 사용할 자신의 도메인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을 미리 알려 드립니다. [8] EC2 인스턴스에 도메인 연결 (Route53) AWS에서 도메인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메인 설정 서비스는 Route 53 이라고 부릅니다. Route 53은 일반적인 도메인 설정에 더해서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AWS의 기본 07] Elastic IP (EIP) 고정 아이피 할당

지금까지는 EC2 인스턴스의 Pubic IP 를 통해 인스턴스에 접속 하였습니다. 그런데, 인스턴스의 Public IP는 고정된 IP 주소가 아니라 유동적인 IP 주소 입니다. 따라서, EC2 인스턴스를 STOP 한 후에 재시작 하게 되면 다른 IP 주소라 바뀌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 Public IP는 실제 서비스에서 사용하기가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보통 인터넷 서비스를 받을 때 사용하는 유동 IP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고정 IP가 필요한데, 이 고정 IP를 AWS에서는 Elastic IP (엘라스틱 IP, 이하 EIP), 줄여서 EIP라고 부릅니다. 고정 아이피는 전세계적으로 부족한 자원이기 때문에, 보통 ..

[AWS의 기본 06] EC2 인스턴스에 NGINX 설치와 보안 그룹 설정

지난회에 이어 이번에는 경량 웹서버로 인기를 얻고 있는 NGINX를 EC2 인스턴스에 설치해 봅니다. 지금까지 만든 인스턴스의 OS가 우분투 리눅스이므로, 우분투에 설치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지난번에 하지 않은 보안 그룹 설정을 이번 기회에 간단해 해봅니다. [06] EC2 인스턴스에 NGINX 설치와 보안 그룹 설정 NGINX는 Apache 웹서버와 같은 부류의 웹서버 프로그램입니다. 가볍고 빨라서 사용 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군요. 아파치의 경우는 프로세스와 쓰레드 기반으로 처리를 하고, NGINX의 경우는 비동기 이벤트 방식으로 요청을 처리한다고 합니다. 특히 모바일 서비스쪽으로 많이들 쓴다고 합니다. 어쨌든 NGINX를 이전에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설치해 보겠습니다. 먼저 NGI..

[AWS의 기본 05] EC2 인스턴스에 node.js 설치 (우분투)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생성한 EC2 인스턴스에 요즘 많이들 사용하고 있는 node.js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는 조금 번외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node.js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넘어가도 좋습니다. APM(Apache+PHP+MySQL) 설치는 인터넷 검색하면 자료가 많이 나오니 생략하고요, 저는 EC2 인스턴스 서버를 node.js와 nginx 구성으로 해보고자 합니다. node.js를 설치하는 방법은 몇가지가 있습니다. 우분투의 apt-get을 이용하는 방법, node.js 사이트에서 바이너리를 다운로드 받는 방법. node.js나 github를 통해 node.js의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아 직접 빌드하는 방법이 있죠. 여기서는 github를 통해 소스코드를 다운로드 받..

[AWS의 기본 04] EC2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하기

지난회에서는 EC2 인스턴스를 만들었습니다. 이제 만들어진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해 보도록 합니다. [4] EC2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하기 EC2 인스턴스에 SSH로 접속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접속과 차이는 키파일(pem)만 입력하면 끝입니다. EC2의 안내대로 하기만 하면 됩니다. 먼저 EC2 콘솔에 들어갑니다. (AWS 관리자 콘솔에서 EC2 선택하면 됩니다.) 좌측, Instances를 선택하면, 우측에 인스턴들의 목록이 나타납니다. 접속할 인스턴스를 선택합니다. 하단 정보란에 보면, 중요한 것이 'Public DNS'와 'Public IP' 입니다. 이 둘중 하나의 주소로 접속하면 되는 겁니다. 상단의 [Connect]를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팝업이 뜨는데, 바로 접속할 수..